부상하는, 북한 2010년 핵 시험설
<분석과전망>우리정부가 북한의 2010년 핵 시험설을 부정하는 이유
북한의 2010년 핵 시험 설이 다시 부상하고 있다. 북한이 지난 2010년 4월과 5월에 두 차례에 걸쳐 비밀 핵 시험을 했다는 것이 그것이다.
일각에서 핵 융합 시험이었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던, 전문가들에게는 꽤 유명한 핵 시험설이었다.
북한의 2010년 핵 시험 설에 대해 우리정부는 ‘핵 시험 가능성이 높지 않다’는 기존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북한이 2010년 4월·5월 두 차례 핵실험을 했다”
지금으로부터 3년 전인 2012년, 스웨덴 국방연구원 대기전문가 에릭 라스 데 예르는 그렇게 주장을 한다. 그해 2월 군사과학저널 ‘과학과 세계안보’에 실은 논문을 통해서다.
그가 사용한 테이터는 당시 한반도 상공 대기와 관련된 데이터였다. 한국·일본·러시아의 핵물질 감시 관측소 그리고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기구의 국제 모니터링 시스템이 수집한 데이터였다.
당시 데 예르의 주장은 과학자들 중 그 누구에게서도 논박당하지 않는다. 오류가 없는 분석이라고 인정받았다.
하지만 과학자들은 완전한 결론은 유보했다. 데 예르의 연구작업에 핵 시험이 수반하는 지진파에 대한 것이 없어서였다.
다른 과학자들이 가만 있지 않는다. 데 예르의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지진파 연구작업에 착수를 한 것이다. 중국과학기술대학 연구팀이 그 앞장에 섰다.
연구작업 결과는 지난해 11월에 나왔다. 지구물리학 국제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에서 확인할 수 있다.
“북한이 2010년 5월12일 소규모 핵실험을 한 사실을 ‘미진(微震)검측 방식’을 통해 확인했다”고 했다. 데 예르가 데이터 상의 한계로 잡지 못했던 북한 풍계리 핵 시험장에서 비롯된 지진파를 찾아낸 것이다.
이에 대해 우리정부는 "핵실험을 하지는 않은 것 같다"는 반응을 보였다.
2012년 스웨덴 과학자 그리고 2014년 중국 과학자들이 데이터를 근거를 분석해서 내놓은 그 결과는 명백히 과학적 사실이었다.
과학자들이 밝혀낸 그 과학적 사실들은 미국과학자들에게도 곧바로 인정을 받았다. 프린스턴대 마이클 쇼프너 연구원 그리고 함부르크대 울리히 쿤 연구원이 그들이다.
그들은 최근, 핵문제 전문 저널인 핵과학자회보(Bulletin of the Atomic Scientists)에 게재한 국제 핵실험 감시체계 개선 관련 보고서에서 “1월 발행된 지진파 분석결과는 2010년 5월 핵실험이 있었다는 주장을 지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힌 것이다.
보고서는 "2010년 5월 동아시아 지역에서 방사능 핵종과 비활성(노블) 기체를 탐지하는 복수의 관측소가 핵실험 과정에서 나온 것으로 추정되는 여러 핵종을 포집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미국과학자들이 내온 과학적 결론에도 그러나 우리정부는 그렇듯 부정하고 나섰다.
우리정부는 왜, 북한의 2010년 핵 시험설을 부정하고 있는 것일까?
과학자들은 과학적 사실만을 추구하지만 정치는 그 과학적 사실이 정치에 미치게 되는 영향과 관련하여 극히 예민하게 반응할 수 밖에 없는 범주이다.
이를 근거로 일부 전문가들은 우리정부가 북한의 2015년 4.5월 핵 시험설을 부정하는 것은 충분히 이해가 된다는 견해를 내놓고 있다. 과학적 사실과 정치적 사실 간에 존재하는 차이가 발생시키는 문제로 봐야한다는 것이었다.
2010년 북한 핵 시험설은 그것이 사실이라면 핵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북미대결전에 결정적 변수로 작용할 수 밖에 없는 핵심적 이슈다.
북한의 2010년 5월 핵실험 주장이 과학적으로 힘을 얻고 있는 데에서 끝나지 않고 사실로 될 경우 미국이 받게 될 충격은 현실적으로 클 수밖에 없다. 우리정부 또한 당연히, 예외가 아니다. 북핵을 대상으로 미국과 우리정부가 만들어놓고 있는 공조범주가 빛 샐 틈이 없어서다.
북한의 2010년 핵 시험이 사실이라면 일단, 북핵에 대해 몇 가지가 수정되어야한다. 북한이 지금까지 한 것으로 알려진 핵시험 회수가 3차례라는 것이 가장 먼저 수정되어야한다.
그렇지만 횟수는 미국이나 우리정부에 당연하게도 중요한 것이 아니다. 2010년 북한의 비밀 핵 시험은 핵탄두 소형화를 위한 북한의 작업이 이미 오래 전에 시작되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근거가 된다. 핵탄두 소형화는 핵기술에서 핵심이다. 북한이 도달시키고 있는 기술 수준에 대한 분석이 완전히 수정될 가능성을 높이는 대목이다.
과학적 사실은 과학에서는 부정당하지 않지만 이것이 정치로 넘어오면 달라진다는 것을 정세분석가들이 인정하는 순간, 상황은 의외로 심각해질 수 있다.
언론보도에 따르면 정부가 밝힌 입장 중에 매우 중요한 대목이 하나 있다. 정부의 고위당국자가 "특히, 핵융합에 대해서도 특별히 확인할 내용이 없다"고 언급한 것이 그것이다.
또 다시 언급되는 핵 융합 시험. 과학자들은 물론 특히 정세분석가들이 주목할 수 밖에 없는 대목이다.
이것이 예사롭지 않게 보일 수 밖에 없는 이유는 충분하다.
우선, 쇼프너 연구원과 쿤 연구원이 보고서에서 언급하고 있는 특별한 대목과 연동되기 때문이다.
보고서는 2010년 5월 동아시아 지역에서 방사능 핵종과 비활성(노블) 기체를 탐지하는 복수의 관측소가 포집 한 핵 종에 “국제 모니터링 시스템이 가동된 이후 한 번도 탐지된 적이 없는 것”이 포함되어있다고 했다.
핵 융합에 대한 것은 미국의 일각에서도 확인된다.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그 핵 시험이 통상적인 핵분열 실험이 아니라 핵융합 방식 등을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핵실험을 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시각이 워싱턴 외교가 일각에서도 확인되고 있는 것이다.
이것들은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이 2010년 5월12일 1면 기사에서 "조선(북한)의 과학자들이 핵융합 반응을 성공시키는 자랑찬 성과를 이룩했다"며 "핵융합 성공은 발전하는 조선의 첨단과학 기술 면모를 과시한 일대 사변"이라고 주장한 것에 대해 당시 미국이나 우리정부가 ‘터무니 없다’고 한 것에 대해 다시한번 생각을 하게 해준다.
과학이 과학적으로 밝힌 과학적 사실을 정치로 가져와 ‘덮어 놓고 아니다’라는 우리정부의 입장이 갖고 있는 의미가 일정정도 이해되는 이유다.
'분석과 전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화는 없다 (0) | 2015.02.21 |
---|---|
87년 체제는 실패했고 민주주의는 죽었다. (0) | 2015.02.20 |
제2 민주화 운동,시작되다. (0) | 2015.02.18 |
남북대화가 막아주는 것들 (0) | 2015.02.17 |
한 치의 틈도 없는 대통령 (0) | 2015.02.17 |
러시아를 둘러싼 북미대결전 (0) | 2015.02.14 |
미국의 아시아중시정책과 한반도의 긴장 (0) | 2015.02.13 |
미국, '박대통령 러시아 가지마라' (0) | 2015.02.11 |
압박의 용도 (0) | 2015.02.10 |
정권퇴진운동, 시작될 것인가? (0) | 2015.02.10 |
댓글